| 안양예술공원 ,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진 자연미술관 & 알바로시자홀 | |||||||||
|
요즘 공원들은 평범함을 벗어 던지고 있다. 일부러 미술관을 찾지 않아도 될정도로 자연과 예술이 조화를 이루어 멋진 자연미술관으로 변신을 한다. 그 대표적인 곳이 안양예술공원이다. 안양유원지로 알려져 있던 이 곳이 몇년 전 안양 예술공원으로 변신했다. 관악산과 삼성산 사이의 계곡에서 흐르는 맑은 물과 울창한 숲이 주변의 전통사찰 및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며 사랑 받았던 곳을 예술과 문화와 자연이 조화를 이루도록 단장을 해 놓은 것이다. 세계 각국의 예술가, 디자이너, 건축가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안양예술공원은 시민들의 쉼터가 되어주고, 자연과 예술이 얼마 만큼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원이 되었다.
몇년 전, 새롭게 변신한 이곳의 사진을 보고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가보지를 못했다. 안양시의 초청 으로 해설사님과 함께 안양의 U-통합 상황실, 안양예술공원, 문화재, 안양천, 오픈스쿨을 둘러보았다. 서울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잘 몰라서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안양에 대한 새로운 발견! 그 중, 안양유원지 개발사업과 APAP 2005를 통해서 예술공원으로 거듭나 다양한 예술작품들이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있는 안양예술공원으로 떠나볼까?
주차장 에서 시작하여 숲을 가로지르는 터널. 나무 위의 선으로 된 집은 주차장을 돌아 숲을 공중으로 가로지르는 산책로를 지칭하는 것이다.나무 가지들 사이로 난 투명한 터널을 산책하는 경험은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해 준다. 바닥은 통풍이 된다. 시작부터 강하게 다가오는 작품에 이곳의 예술품들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 일으킨다
터널을 빠져 나오면 광장이 나타난다. 파도가 물결치 듯이 넘실대는 광장 또한 신기하다. 이곳을 만드신 작가분은 자연을 그대로 살려서 나무 사이 사이로 작품을 만드셨다고 한다. 그래서 구불구불한 터널이 탄생되었다고 하는데, 자연과 조화를 이룬 첫번째 작품에 이미 마음을 빼앗겨 버렸다.
▲ 만고강산 유람할 제
작가는 안양예술공원 개발 과정에서 만들어진 흙과 돌을 이용하여 버려진 지역을 고르고 새로운 광장을 만들었다. 개발과정에서 불가 피하게 산출되는 폐기물 들을 재활용한 광장이다.
다른 곳에서 가져온 돌이 아닌, 개발 과정에서 만들어진 돌들을 이용해서 만들어서 인지 작품이라고 보기에는 좀 의아하기도 하다. 그렇지만, 이곳에는 재미있는 것이 있다
바로, 돌에 새겨져 있는 글씨를 찾는 재미! 몇개의 글씨를 찾고 즐거워하는 나를 보며, 예술이라는게 틀을 벗어나니 이러한 매력이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뿌리의 선 형태에서 모티브를 얻은 건축 자연스럽게 뻗어난 벽은 관람객에게 그늘을 만들어 주고 아늑한 휴식공간을 제공해 준다. 마치 비밀의 문처럼 자리하고 있는 뿌리라는 작품 앞에서 조심스럽게 그 문을 열고 들어가 본다 초록빛 나무들이 하늘이 되어 주고, 뿌리의 잎이 되어주는 휴식공간이다.
▲ 우리들의 낙원
새롭게 조성된 안양예술공원을 축하하는 기념비 지역 주민들의 필체를 모아 '우리들의 안양' 이라는 문구를 만들어 거대한 돌에 새겨 넣었다 매우 불안하게 쌓아 올려진 기념비는 역동적 균형을 표현한다
굉장히 멋진 아이디어다. 그냥 볼때는 몰랐는데 해설사님의 설명을 듣고 보니 정말 필체가 다 다르다 예술작품을 만들고, 공원을 만드는 곳에 진짜 주인인 주민들이 함께 하니 이것이 바로 주민들을 위한 공원을 만들기 위한 세심한 배려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천국은 불타고 있다
원형의 태양열 전구를 매달아 물 위에 새겨 넣은 시 해가 지고 어두워지면 물 위로 전구들이 불빛을 밝힌다. 시각 장애인들도 빛을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작가는 점자로 빛의 시를 물 위에 새겼다. 하지만 물 위에 그려진 전구의 그림자는 점자를 표현한 것이다. 평범함이 특별함이 되는 순간이다.
작품들과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놓은 그곳에서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건물들도 눈에 띈다. 산책하는 즐거움이 있는 곳이다.
하늘과 땅을 잇는 전설적인 흰 용을 형상화한 벤치 산과 하천 상업지구와 주거지 등이 교차하는 안양예술공원의 역동적인 기운을 용으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맞은편에 있는 최정화의 돌꽃을 감상 할 수 있다. 벤치 하나도 평범하지 않다. 이곳은 작품들은 그저 눈으로 보는것이 아닌, 손으로 만지고, 쉬어가며 함께 할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 많다. 용의 모양을 한 벤치는 하천을 따라 만들어져 있어서 시원한 쉼터가 되어준다
안양예술공원의 밋밋하고 딱딱한 석축을 다양하고 화려한 인조꽃과 잎으로 장식하였다. 단조로웠던 하천변에 진풍경을 연출한다.
돌 사이에 화려한 꽃이 폈다. 이 꽃은 일년 내내 시들지 않는다. 건너편에서 보는 돌꽃은 시선을 사로잡는다. 조금은 딱딱해 보일 수 있는 풍경속에 꽃이 들어서니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면서 멋진 작품이 되었다.
아주머니들이 자리를 하고 계셨다. 편안하게 앉아서 이야기 보따리를 풀고 계셨는데 그 옆을 지나가면서 보니 천정에 멋진 그림이 가득하다. 안양예술공원에서는 돌하나 나무하나 쉽게 보면 안된다
작품은 아니지만, 정자의 모습 과 나무와 물의 조화가 예~술 이다. 쉬어가기 좋은 곳!
미끄럼틀처럼 높낮이가 다르고 길게 늘어져 있는 벤치 벤치에 대한 일반적 통념을 깨뜨리는 디자인으로 여기에서 앉거나 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도 탈 수 있다.
벤치가 노래를 한다? 사람이 음표가 되어 앉아있으면 딱일것 같은 작품!
숲 속에 위치한 거울 기둥으로 이루어진 원형 미로 주변 풍경을 표면에 비추어 작품과 환경간의 구분을 모호하게 한다. 거울 기둥 마다 비치는 자신과 타인의 모습을 찾아 보는 재미가 있다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이다. 무엇보다 푸르른 나무의 모습이 거울속에 그대로 비추는게 마음에 든다. 거울이 자연과 어우러지니 이렇게 멋진 조화를 이루는데, 우리집 거울들은 고생이 많네..
거울에 나무들이 그대로 드리워진 모습! 멋지다! 거울속에 나무있다~!
▲ 빛의 집
다양한 색상의 음료 박스를 재활용하여 블럭처럼 쌓은 집 싸구려 음료수 박스로 만들어진 조그만 집이지만 그 사이로 반투명하게 비치는 빛의 효과는 매우 아름답다 이곳을 멀리서 바라보면서, 뭐든 예술이라고 하는구나~! 라며 약간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는데 내부로 들어가서 보고는 예술! 이라며 감탄사를 내뱉었다!
빛이 가득한 공간에서 예술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했다. 빛이 만들어 놓은 예술. 사진과 비슷한 한것 같다
복사집 딸래미라는 작품은 앞에서 볼때와 옆에서 볼때가 너무 차이가 있어서 깜짝 놀랐다. 입체적인 작품에 실감나는 포즈가 흥비로운 작품
용의꼬리는 기와로 만들어 놓은 예술작품이다. 꿈틀 하고 움직일것 처럼 생동감이 드는 작품을 보면서, 무한한 작품세계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된다.
디자인, 건축, 조경, 도시개발 전문 건축가그룹인 엠브이알디브이(MVRDV)의 건축, 등고선을 입체화 하여 지은 전망대로서 산속에 다시 산이 솟은 형상이다. 안양시를 비롯한 안양예술공원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안양 전망대라 불리우는 전망대는 정말 독특한 모양이다. 그곳에서 내려다 보는 공원의 전체적인 모습도 좋지만, 그 길을 따라 올라가는 재미도 쏠쏠하다
굽이굽이 굽어있어서 인지 한참을 올라간다. 전망대의 난간 사이로 숲의 모습이 보이는게 숲쪽으로 나있는 창문같아서 시원한 느낌이 들었다
푸른산을 보니 봄에서 여름으로 가고 있음이 느껴진다. 봄이 너무 짧다. 특히나 이 봄이 이렇게 짧다.
두개의 투명한 원통 구조물을 교차하여 만든 숲속의 쉼터 원형으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이 매력적일 뿐만 아니라 야트막한 산의 비탈에 놓여진 투명한 구조물 속으로 숲속의 풍경을 감상하는 것도 일품이다. 노랑색을 좋아해서 인지, 노랑색의 건물이 눈에 띄었다. 빛이 가득 들어오면 더 아름답게 빛나는 작품. 숲속에 설치된 타임머신인것도 같고, 외계에서 온 비행선인것도 같다.
▲ 종이뱀 종이접기의 방식으로 뱀의 형상을 간결히 구성한 구조물 한편, 자연속에서 일필휘지와 같은 붓놀림을 떠올리기도 한다. 구조물 사이로 보이는 소나무숲과 삼성천의 풍경이 다채롭다. 동양적이면서도 현대적 감각의 숨터를 제공해준다 어울리지 않는 듯 어울리는 작품이 바로 종이뱀이다. 자연속에 있으니 빛을 발하는, 그래서 더욱 아름다워 보이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 물고기의 눈물이 호수로 떨어지다
홍수로 떠내려온 하천 중심의 바위에 설치된 물고기 형태의 분수 분수의 물줄기는 시시각각 방향을 달리하면서 하천을 유연하게 변화시킨다 물고기의 슬픈 눈물일까? 이름이 너무 마음에 드는 작품이다. 분수에서 물이 나오지 않으면 조금 심심한 편인데 물줄기가 나오자 비로소 작품이 완성이 되는 것 같다.
◆ 알바로시자홀 ◆
현대미술 속으로 展 일반인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현대미술을 친절한 해설을 곁들여 편안하고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한 전시이다 특히 현대미술이 이전의 미술과 어떻게 다른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전시구성을 통해 어려운 현대미술의 개념을 알기 쉽게 풀어준다
2012.3.27 ~ 6.10 안양예술공원 내 알바로시자홀 오전 10시~ 오후 6시 매주 월요일 휴관 (단, 5.28일 은 개관) 일반 3000원 만 4~18세 2000원 단체 2000원
![]()
![]()
쉬운 설명과 함께 들으니 어렵게만 느껴졌던 그림이 조금 친근해졌다. 현대미술을 어렵고 낯설게만 생각하지 말고,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서 다양한 시각으로 봐야한다. 현대미술의 몇가지 주요개념을 알아두면 작품들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 큐레이터의 설명을 들으며 그림의 세계에 한발짝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곳이다. 단, 사진촬영은 불가하다. 위의 사진은 특별히 허가를 받아서 촬영한 것이다. 안양예술공원은 돗자리를 들고 도시락을 싸가지고 가족끼리, 연인끼리, 친구끼리 소풍을 가기에 좋은 곳이다. 자연을 느끼고, 예술작품을 만나고 그 속에서 휴식을 취하며 보내는 시간, 자연미술관인 안양예술공원 이기에 가능한 것이 아닌가 싶다. 여행을 꼭 멀리 가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소풍가듯 가벼운 마음으로 공원으로 여행을 가 보는 것은 어떨까?
* 작품에 대한 설명은 안내자료를 참조했습니다 *
◆ 찾아가는 길 ◆
전철 : 1호선 관악역 2번 출구 도보로 10분 버스 : 1, 5-1, 51, 703 지선버스 : 5624, 5625, 5626, 5530, 5713 마을버스 : 6-2 번 승용차 : 안양시내출발 - 경수산업도로(1번국도) 서울방향으로 안양예술공원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직진 서울출발 - 경수산업도로 (1번국도) 수원방향으로 안양예술공원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직진
APAP 2005 안양공공예술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apap.ayac.or.kr/2005/korean/main.asp 안양예술재단 홈페이지 http://apap.ayac.or.kr/default.asp
▲ 클릭, 안양시청 홈페이지
* 이 컨텐츠는 안양시청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원작성자 : 네페르 원 글 : http://blog.naver.com/gikimi23/30138325578 |
|||||||||
|
|
|||||||||
| 글쓴날 : [12-05-16 18:40] | 파워블로거타임즈기자[pbatimes@pbatimes.com] | ||||||||